본문 바로가기

소소한 정보

2025년 부동산 취득세 계산법 완벽정리

728x90
반응형

2025년 부동산 취득세 계산법 완벽정리 (주택·토지·상가)

부동산을 매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세금이 취득세입니다. 특히 2025년 세법 개정으로 일부 세율과 감면 규정이 달라졌기 때문에, 정확한 계산 방법을 알고 있어야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부동산 취득세 계산법을 주택·토지·상가별로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
 

1. 취득세란 무엇인가?

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할 때 1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.

  • 납부 시기: 잔금일 또는 소유권 이전등기일로부터 60일 이내
  • 납부 주체: 부동산을 취득한 구매자(매수인)
  • 부과 기준: 취득가액(매매가) 또는 시가표준액(공시지가)높은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

 

2. 2025년 부동산 취득세 기본 세율

(1) 주택 취득세율

  • 6억 원 이하: 1%
  • 6억 원 초과 ~ 9억 원 이하: 2%
  • 9억 원 초과: 3%

무주택자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6억 원 이하 주택은 50% 감면(최대 200만 원 한도) 혜택이 유지됩니다.

 

(2) 다주택자 및 법인 취득세율 (중과세)

  • 2주택: 8%
  • 3주택 이상 / 법인 명의: 12%

2025년에도 다주택자 중과세율은 그대로 유지됩니다. 단, 농어촌·비수도권 일부 지역의 실거주 목적 주택은 예외가 적용될 수 있으니 반드시 지자체 확인이 필요합니다.


(3) 토지 및 상가 취득세율

  • 일반 토지, 상가, 건물: 4% (취득세 3% + 지방교육세 0.3% + 농특세 0.7%)
  • 농지(전·답): 4% 동일 (농업인 감면 시 별도 규정 적용)

 

3. 취득세 계산 공식

취득세 = 취득가액 × 세율  
지방교육세 = 취득세 × 10%  
농어촌특별세 = 취득세 × 20% (일부 대상만)  
총 납부세액 = 취득세 + 지방교육세 + 농특세

 

계산 예시

예1) 5억 원 아파트(무주택자)

  • 취득세: 5억 × 1% = 500만 원
  • 지방교육세: 500만 × 10% = 50만 원
  • 농특세: 비과세
  • 총 세금 = 550만 원

예2) 7억 원 아파트(2주택자)

  • 취득세: 7억 × 8% = 5,600만 원
  • 지방교육세: 560만 원
  • 농특세: 1,120만 원
  • 총 세금 = 7,280만 원

4. 2025년 달라진 주요 사항

  1. 생애 최초 주택 구입 감면 한도가 200만 원으로 명확히 규정됨
  2. 농어촌 주택 실거주 요건 완화 → 취득세 중과 예외 대상 확대
  3. 법인 주택 취득세율(12%) 유지 → 절세 목적으로 법인 명의 취득은 사실상 어려움

5. 취득세 절세 팁

  • 잔금일을 조정해 주택 보유 수를 관리 (중과 피하기)
  • 생애 최초·신혼부부 감면 반드시 확인
  • 증여·상속 시 취득세율 별도 적용 여부 검토
  •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위택스(www.wetax.go.kr) 에서 직접 계산 가능

2025년 부동산 취득세율과 계산법을 주택·토지·상가별로 상세 정리! 다주택자 중과세, 생애 최초 주택 감면 혜택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.

 

 

 

부동산계산기(아래 클릭)

https://xn--989a00af8jnslv3dba.com/%EC%B7%A8%EB%93%9D%EC%84%B8

 

 

반응형